사법부의 가장 큰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 [법원TV] 웹 서비스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프로젝트를 완료하였습니다.
구축 or 납품소식은 가급적 안올리려고 하는데 공공기관에서 ai 모델을 제대로 적용한 최초의 사례이지않을까 싶어 (이말은 법원도서관장님이 계신 최종보고시에도 담당자분들에게 언급한부분) 내용을 공유합니다.
법원도서관의 멀티미디어 아카이브를 지능형서비스로 고도화하는 프로젝트로
•
내부망에 STT (Speech to the Text) 서버와 Script 생성하는 ai 모델을 구축하고
•
동영상 오디오를 기반으로 자막파일 (vtt) 추출하여 스크립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
ai자막 검색을 통해 해당키워드의 동영상 구간을 바로 찾아보고 재생할수 있도록 만들었다
1. 자막생성 관리자
비디오 콘텐츠 등록과정에 자막생성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생성이 되고 잘못된 자막을 발견한다면 바로 수정편집할수 있는 에디터를 같이 제공한다
추출된 자막의 정확도는 95% 수준인데 ,, 물론 이 정도가 적당하지 않다 할수도 있지만 실제 돌려보면 오타 생각보다 많지않다
에디터에서는 우측의 프리뷰를 보면서 가운데 정렬된 자막을 보고만 있으면 된다 자동으로 로테이션 되도록 동작하고 영상재생시간과 자막위치 동기화되어있기도 하다
2.키워드 구간검색
자막데이타는 모두 타임데이타와 동기화 되어있다 그래서 원하는 '자막'을 찾는다는것은 원하는 동영상의 '구간'을 찾았다는 의미이기도하다
그런데 검색결과가 너무많을수도 있어서
•
카테고리 별로 구분해서 대상콘텐츠와 함께 보여주고
•
검색결과 전후 맥락을 모두 보여준다
•
텍스트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구간 영상도 미리볼수 있다
3.
시청통계
많은 사람들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춘다
물론 이전에 보여주지 못한 새로운 멋진 서비스를 제공하는것도 대단하지만 더 중요한건 그 다음이다
시스템의 이용자들이 얼마나 자주, 오래 시청하는지, 어떤 키워드로 접근하는지 등등
결국 미디어 시스템을 통해 기관, 기업이 목적하는바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각각이 목적하는바를 취하는것이기 때문이다
•
개별동영상의 누적시청자수와 접근경로 (device) 분포 제공하고
•
최근일을 기준으로 시청추이를 확인할수도 있다
•
평균시청시간 (Avg Watch Time) 제공한다 >> "얼마나 오래 시청자가 머무르는지"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를 차지하는것으로 알려짐
이외에도
1.자막추출, 편집기
2.실시간 자막표시
3.키워드 구간검색
4.비디오 사용통계
5.타임스탬프
6.구간영상 소셜공유
7.라이브스케줄링
8.타임머신 재생기
9.라이브 실시간통계
10.
설문조사, 에디터포함
,,, 등등이 있지만 블로그글통해 상세히 정리해놓았으니 참고바랍니다.